반응형 전체 글53 결과 편향 - 과정보다 결과를 더 중시하는 오류 프리미어리그 경기를 보다가 흥미로운 장면을 목격했다. A팀의 선수가 완벽한 위치에서 슛을 시도했지만 골키퍼가 선방을 해서 골이 들어가지 않았고, B팀의 선수는 무리한 각도에서 슛을 했지만 운이 좋게 골이 들어갔다. 경기 후 분석가들은 B팀의 선수를 영웅으로, A팀의 선수를 실패자로 평가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그 순간 나는 우리가 얼마나 '결과'에 집착하는지 다시 한번 깨달았다.이처럼 의사결정의 질을 판단할 때 과정보다 결과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인지적 편향을 '결과 편향(Outcome Bias)'이라고 한다. 쉽게 말해, 같은 판단이라도 결과가 좋으면 좋은 판단, 결과가 나쁘면 나쁜 판단으로 평가하는 경향이다. 이런 편향은 우리 삶 곳곳에 스며들어 있으며, 때로는 심각한 오판을 초래하기도 한다. 오늘.. 2025. 4. 28. 공감 격차 - 타인의 감정을 과소평가하는 심리 “그 정도 일로 왜 그래?”아마 한 번쯤은 들어봤거나, 혹은 무심코 말한 적이 있을지도 모른다. 처음에는 위로의 의도였을 수도 있지만,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오히려 상처가 된다. 왜냐하면, 그 말은 상대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별일 아닌 걸로 힘들어하네’라는 판단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우리는 왜 타인의 감정을 쉽게 판단하고, 때로는 무시하게 될까? 감정이입을 못하는 우리의 심리, 그 중심엔 ‘공감 격차(empathy gap)’라는 현상이 있다. 감정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틈 ‘공감 격차’란 말 그대로 감정을 겪고 있는 사람과 그 감정을 관찰하는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심리적 거리다. 쉽게 말해, 감정 상태에 있지 않은 사람이 감정 상태에 있는 사람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을 뜻한.. 2025. 4. 26. 내집단 편향 - 우리 편에 유리하게 생각하는 본성 “우리 애는 절대 그럴 애가 아니에요.”TV 뉴스나 인터넷 댓글에서 자주 보이는 이 말은 단순한 믿음일까, 아니면 인간 본성의 발현일까? 누군가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그 사람이 우리 가족, 친구, 혹은 같은 학교 출신이라는 이유로 우리는 쉽게 그의 잘못을 의심하지 않는다. 반면, 같은 행동을 낯선 사람이 했을 경우에는 훨씬 더 냉정한 판단을 내린다. 이것이 바로 ‘내집단 편향’이라는 인지적 함정이다. 우리는 얼마나 자주,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우리 편에게 유리한 판단을 내리고 있을까? 본능이 만든 렌즈, 내집단 편향 ‘내집단 편향(in-group bias)’은 말 그대로 자신이 속한 집단에 더 호의적이고 관대하게 평가하는 심리적 경향이다. 이 편향은 단순히 의식적인 태도가 아니라, 우리가 사회적 존재로.. 2025. 4. 25. 중간 지점 착각 - 극단을 피하려는 타협의 함정 “그래도 너무 극단적인 건 좀 그렇잖아.”살다 보면 이런 말을 자주 듣는다. 가족 모임에서 정치 이야기가 나올 때, 친구와 사회 문제에 대해 얘기할 때, 혹은 뉴스를 보며 마음속으로 판단을 내릴 때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흔히 어떤 사안의 양쪽 입장이 팽팽히 맞서면, 그 중간 지점쯤에 진실이 있겠거니 생각한다. 마치 중간이 곧 합리성인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하지만 그 중간이라는 선택이 언제나 현명하거나 공정한 것은 아니다. 때로는 그 ‘타협’이야말로 더 큰 착각일 수 있다. 이것이 오늘 이야기할 주제, 바로 중간 지점 착각(Middle Ground Bias)이다. ‘중간’은 정말 합리적인가? – 중간 지점 착각의 개념과 심리 중간 지점 착각이란, 서로 다른 두 주장 사이에서 단순히 중간을 선택하는 것.. 2025. 4. 24. 최신성 효과 - 최근 정보에 과도하게 끌리는 이유 얼마 전 애플 신제품 발표회를 보다가 문득 깨달았다. 불과 6개월 전에 구매한 아이폰이 갑자기 '구형'이 되어버린 느낌이랄까. 새 모델을 보는 순간 내 폰은 왠지 모르게 부족해 보이더라. 객관적으로는 완벽하게 작동하는데 말이다. 이런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을 것이다.이렇게 최신 정보나 제품에 과도하게 끌리는 현상을 심리학에서는 '최신성 효과(Recency Bias)'라고 부른다. 쉽게 말해, 가장 최근에 접한 정보에 불균형적으로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인지적 편향이다. 그런데 왜 우리는 이렇게 '새것'에 열광하고, 이게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걸까? 오늘은 이 흥미로운 심리 현상에 대해 함께 파헤쳐 보려 한다. 최신성 효과의 심리학적 배경 인간의 뇌는 놀라운 기관이지만, 동시에 많은 정보 처리 지.. 2025. 4. 23. 상호성 편향 - 호의를 갚아야 한다는 무의식적 압박 혹시, 길을 가다 우연히 건네받은 샘플 하나 때문에 그 가게를 다시 찾거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받은 쿠폰 때문에 왠지 모르게 그 제품을 둘러본다거나 이와 비슷한 경험을 한 번씩은 다 해봤을 것이다.우리는 매일 수많은 관계 속에서 크고 작은 호의를 주고받으며 살아간다. 친구의 따뜻한 위로, 동료의 갑작스러운 도움, 심지어 길거리에서 만난 낯선 이의 친절까지. 이러한 호의는 때로는 우리의 마음을 따뜻하게 만들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밑거름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주고받음의 이면에는 때로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강력한 심리적 힘이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느낀 적이 있는가? 바로 '상호성 편향(Reciprocity Bias)'이다. 상호성 편향이란 무엇일까? - 마음속 '빚 목록'의 작동 원리상호성.. 2025. 4. 22.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